남미의 페루에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해 8월 페루에서 처음 확인된 람다 변이가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부터 발생한 확진자의 80%가량이 람다 변이 감염자입니다. <br /> <br />인접한 칠레도 신규 확진자의 1/3 이상이 람다 변이 감염자입니다. <br /> <br />인구의 58%가 백신 접종을 마쳤는데도 확진자가 줄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람다 변이의 백신 회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칠레 의료진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람다 변이가 백신의 중화 반응을 3배가량 감소시켜 예방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직 속단하기에는 이르다는 의견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남미 국가들이 중국산 백신을 주로 접종했기 때문에 예방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 WHO도 "아직 람다 변이가 더 치명적이라는 징후는 확인되지 않았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람다 변이를 '관심 변이'로 분류하고 추이를 지켜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 공중보건국 집계를 보면 람다 변이는 현재 남미를 중심으로 미국과 독일 등 29개국에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형근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71414213508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